javascript

표준 빌트인 객체(standard built-in objects/native objects/global objects)

Bittersweet- 2022. 7. 28. 16:49
728x90

JavaScript 객체의 분류

1) 표준 빌트인 객체 (standard built-in objects/native objects/global objects)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된 객체로 전역의 공통 기능을 제공한다. 표준 빌트인 객체(표준 내장 객체)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 제공되며 별도의 선언없이 전역 변수처럼 언제나 참조할 수 있다.

 

2) 호스트 객체 (host objects)

자바스크립트 환경(브라우저 or Node.js 환경)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객체를 말한다.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 사이트 Web API를 호스트 객체로 제공한다. (Web API 예시 - DOM, BOM, Canvas, XMLHttpRequest, fetch, requestAnimationFrame, SVG, Web Storage, Web Component, Web Worker)

Node.js 환경에서는 Node.js 고유의 API를 호스트 객체로 제공한다.

 

3) 사용자 정의 객체 (user-defined objects)

사용자가 직접 정의한 객체를 말한다.

 

 

 

 

 

표준 빌트인 객체

자바스크립트는 40여개의 표준 빌트인 객체를 제공하며 Math, Reflect, JSON을 제외한 표준 빌트인 객체는 모두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다.

 

💡 여기서 인스턴스란???

생성자 함수로 만든 객체가 인스턴스이다. 다시 말하면 생성자, 프로토타입 객체는 함수를 정의하면 함께 정의되는 객체이고 인스턴스는 생성자 함수로 생성해서 얻게되는 객체이다. 

 

우선,  생성자 함수를 파싱해서 정의하면 최종적으로 생성자 객체와 프로토타입 객체가 함께 정의된다. 생성자와 프로토타입 객체는 별도로 존재하며 서로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

별도의 두 객체가 생성자의 prototype 속성과 프로토타입 객체의 constructor라는 속성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금은 뭐라 설명을 못하겠네...

 

인스턴스는 생성자의 프로토타입을 상속받는다. 이 말은 표준 빌트인 객체인 String을 생성자 함수로 호출해서 생성된 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은 String.prototype이 된다는 것이다.

 

* 책(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에서는 프로퍼티에 바인딩된 객체라고 표현되서 이해가 잘 안됐다. 그래서 좀 이해하기 쉽게 모든 인스턴트는 해당 생성자가 가지고 있는 프로토타입 객체의 프로퍼티를 상속받는다고 받아들였다. 상속이라는 개념에 또 한번 머리가 복잡한 사람이 있다면 글을 읽고 프로토타입 체인을 참고하길 바란다.

const strObj = new String('Lee'); // String {"Lee"}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strObj) === String.prototype); // true

 

💡 프로토타입이란?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이다. 프로토타입은 객체의 원형이다. 함수 객체에는 프로토타입이라는 특수한 유형의 객체 프로퍼티(속성)가 존재한다. 이러한 프로토타입 프로퍼티를 통해 성성자 함수는 인스턴스에게 프로토타입 객체에 있는 데이터, 메소드를 상속한다.

 

// let obj = new Object()는 let obj = {} 와 동일하다
let obj = {};
alert(obj.__proto__ === Object.prototype); // true
alert(obj.toString === obj.__proto__.toString); // true
alert(obj.toString === Object.prototype.toStrint); // true
// ECMAScript 2015 이후로 Object.getPrototype(obj)를 통해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에 바로 접근 가능)

생성자 함수인 Object의 프로토타입은 toString을 비롯한 다양한 메서드가 구현되어 있는 거대한 객체를 참조한다.

Note : 객체의 prototype( Object.getPrototypeOf(obj) 함수 또는 deprecated된 __proto__ 속성으로 접근이 가능한)과 생성자의 prototype 속성의 차이를 구분하자. 객체의 prototype은 개별 객체의 속성이며 생성자의 prototype은 생성자의 속성이다. 이 말은 Object.getPrototypeOf(new Object())의 반환값이 Object.prototype과 동일한 객체라는 의미이다.

 

표준 빌트인 객체의 프로토타입 프로퍼티를 상속받은 객체(예를들어, String.prototype)는 다양한 기능의 빌트인 프로토타입 메서드를 제공한다.

또한, 표준 빌트인 객체는 인스턴스 없이도 호출 가능한 빌트인 정적 메서드를 제공한다.

// Number 생성자 함수에 의한 Number 객체 생성
const numObj = new Number(1.5); // Number {1.5}

// toFixed는 Number.prototype의 프로토타입 메서드임
// Number.prototype.toFixed는 소수점 자리를 반올림하여 문자로 반환
console.log(numObj.toFixed()); // 2

// isInteger는 Number의 정적 메서드임
// Number.isInteger는 인수가 정수(integer)인지 검사하여 그 결과를 Boolean으로 반환
console.log(Number.isInteger(numObj)); // false

💡 여기서 정적 메서드란?

클래스에서 메서드에 static 키워드를 붙이면 정적 메서드(클래스 메서드)가 된다. 클래스를 통해 호출할 수 있으며, 인스턴스로는 호출할 수 없다. 이런 특성 때문에 유틸리티 함수를 만드는게 유용하게 사용된다. 인스턴스는 클래스의 메서드를 상속받지 못한다.

 

💡 표준 빌트인 객체의 정적 메서드

표준 빌트인 메서드인 Math, Number, JSON, Object 등은 다양한 정적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이 정적 메서드는 전역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함수이다. 정적 메서드이므로 인스턴스 없이 호출할 수 있으며, 클래스 또는 생성자 함수를 하나의 네임스페이스로 사용하여 적적 메서드를 모아 놓으면 이름 충돌 가능성을 줄여주고 관련 함수를 구조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적 메서드와 프로토타입 메서드의 차이

  1. 자신이 속해있는 프로토타입 체인이 다르다.
  2. 정적 메서드는 클래스로 호출하고 프로토타입 메서드는 인스턴스로 호출한다.
  3. 정적 메서드는 인스턴스 프로퍼티를 참조할 수 없지만 프로토타입 메서드는 인스턴스 프로퍼티를 참조할 수 있다.
// [정적 메서드]
class Square {
  static area(w,h) {
    return w*h;
  }
}

console.log(Square.area(2,5)); // 10

// [프로토타입 메서드]
class Square {
  constructor(w,h) {
    this.width = w;
    this.height = h;
  }
  area() {
    return this.width*this.height;
  }
}

const reSquare = new Square(10,10);
console.log(reSquare.area()); // 100

 

 

 

 

 

원시값과 래퍼 객체

문자열, 숫자, 불리언 등은 원시값이 있는데도 객체를 생성하는 String, Number, Boolean 등의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가 존재한다.

 

원시값에 마침표 표기법 또는 대괄호 표기법으로 접근 시,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일시적으로 원시값을 연관된 객체로 변환해주어 객체처럼 동작한다. 즉,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암묵적으로 원시값과 연관된 객체를 생성하고 프로퍼티에 접근하거나 메서드를 호출하고 다시 원시값으로 되돌린다.

 

이처럼 문자열, 숫자, 불리언 값에 대해 객체처럼 접근하면 생성되는 임시 객체를 래퍼 객체(wrapper object)라고 한다.

const str = "hi";

// 문자열(원시타입)이 래퍼 객체인 String 인스턴스로 변환
console.log(str.length); // 2
console.log(str.toUpperCase()); // HI

// 래퍼 객체로 프로퍼티 접근 또는 메서드를 호출한 후 다시 원시값으로 되돌림
console.log(typeOf str); // string

// 1. str은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을 가짐
// 래퍼 객체에 name 프로퍼티가 동적 추가된다.
str.name = "Mark";

// 2. str은 다시 원래의 문자열, 즉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을 가짐
// 이때 1번에 생성된 래퍼 객체는 아무도 참조하지 않은 상태로 가비지 컬렉션 대상이 됨

// 3. str은 새롭게 암묵적으로 생성된(1번과는 다른)래퍼 객체를 가리킨다.
// 새롭게 생성된 래퍼객체에는 name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는다.
console.log(str.name); // undefined

// 4. str은 다시 원래의 문자열, 즉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을 가짐
// 이때 3번에서 생성된 래퍼 객체는 아무도 참조하지 않은 상태로 가비지 컬렉션 대상이 된다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hi

문자열의 래퍼 객체인 String 생성자 함수의 인스턴스는 String.prototype의 메서드를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다.

 

래퍼 객체의 처리가 종료되고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으로 원래 상태, 즉 식별자가 원시값을 갖도록 되돌리면 래퍼 객체는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 내부 슬롯이란?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ECMAScript에서 정의한 의사 프로퍼티(pseudo property)와 의사 메서드(pseudo method)이다. 즉, ECMAScript 사양에 등장가는 [[...]] 감싼 이름들이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 실제로 동작하지만 개발자가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외부로 공개된 객체의 프로퍼티는 아니며, 원칙적으로 직접 접근하거나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간접 접근 방법 예시 - __proto__)

 

💡 ES6에서 새롭게 도입된 원시값인 심볼도 래퍼 객체를 생성한다. 심볼은 리터럴 표기법으로 생성할 수 없고 Symbol 함수를 통해 생성해야 하므로 다른 원시값과는 차이가 있다. 심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내용이 짧지 않아 다음 번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결론적으로 표준 빌트인 객체인 String, Number, Boolean 생성자 함수는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문자열, 숫자, 불리언, 심볼 이외의 원시값, 즉 null과 undefined는 래퍼 객체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객체처럼 사용하면 에러가 난다!!

 

 

 

 

 

전역 객체(global object)

전역 객체는 코드가 실행되기 전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제일 먼저 생성되는 특수한 객체로, 어떤 객체에도 속하지 않는 최상위 객체이다.

 

하지만 여기서 최상위 객체라는 말은 프로토타입 상속 관계상의 최상위 객체라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전역 객체 자신은 어떤 객체의 프로퍼티도 아니고 객체의 계층적 구조상 표준 빌트인 객체와 호스트 객체를 프로퍼티로 소유한다는 것을 말한다.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window(또는 self, this, frames)가 전역 객체를 가리키며, Node.js에서는 global이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 globalThis

ES11(ECMAScript 11)에서 도입된 식별자로 브라우저 환경과 Node.js 환경에서 전역 객체를 가리키던 다양한 식별자를 통일한 식별자이다.

 

전역 객체의 특징

  • 전역 객체는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생성할 수 없다. 즉, 전역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가 제공되지 않는다.
  •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window(또는 global)을 생략할 수 있다.
// 문자열 F를 16진수로 해석하여 10진수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window.parseInt('F', 16); // 15
parseInt('F',16); // 15

window.parseInt === parseInt; // true
  • 전역 객체는 모든 표준 빌트인 객체를 프로퍼티로 가진다.
  • 자바스크립트 실행환경에 따라 추가적으로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갖는다.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Web API를 호스트 객체로 제공하고 Node.js에서는 고유의 API를 호스트 객체로 재공한다.
  •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선언하지 않은 변수에 값을 할당한 암묵적 전역, 그리고 전역 함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된다.

    * 암묵적 전역에 대해서는 마지막에 다시 한번 설명하도록 하겠다.

var foo = 1;
console.log(window.foo); // 1

bar = 2;
console.log(window.bar); // 2

function baz() { return 3; }
console.log(window.baz()); // 3
  • let이나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다. let이나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보이지 않는 개념적인 블록(전역 렉시컬 환경의 선언적 환경 레코드)내에 존재하게 된다.\

 

💡 렉시컬 환경이란?

자바스크립트 코드에서 실제로 접근할 수 없으며, 코드에서 변수나 함수 등의 식별자를 정의하고 관리해주는 개념으로 생각하고 우선 넘어가도록 하자. 추후에 실행 컨텍스트와 함께 다시 한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 예정이다.

 

  • 브라우저 환경의 모든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하나의 전역 객체 window를 공유한다. 이는 분리되어 있는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하나의 전역을 공유한다는 의미이다.
  •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서드는 전역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window or global)을 생략하여 참조, 호출할 수 있으므로 전역 변수와 전역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전역 객체의 프로퍼티)

Infinity

무한대를 나타내는 숫자값 Infinity를 갖는다.

console.log(window.Infinity === Infinity); // true
// 양의 무한대
console.log(3/0); // Infinity
// 음의 무한대
console.log(-3/0); // Infinity
// Infinity는 숫자
console.log(typeof Infinity); // number

 

NaN

숫자가 아님을 나타내는 숫자값 NaN을 갖는다.

console.log(window.NaN); // NaN
console.log(Number('xyz')); // NaN
console.log(1*'string'); // NaN
console.log(typeof NaN); // number

 

undefined

원시타입 undefined 값을 갖는다.

console.log(window.undefined); // undefined)
var foo;
console.log(foo); // undefined
console.log(typeof undefined); // undefined

 

 

 

 

 

빌트인 전역함수(전역 객체의 메서드)

1) eval()

eval()은 문자로 표현된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는 함수이다. eval()의 인자는 문자열이며, 인자가 표현식을 나타낸다면 eval()은 표현식을 평가하고 인자가 문을 나타낸다면 문자열 코드를 런타임에 실행한다. 인자가 하나 이상의 JavaScript 명령문을 나타낸다면 모두 실행한다. 인자로 전달받은 문자열 코드가 여러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모든 문을 실행한 다음 마지막 결과 값을 반환한다.

🔥 eval()의 사용은 mdn의 공식 문서에서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것으로 마친다.

 

2) isFinite(number)

전달받은 인수가 정상적인 유한수인지를 검사하여 유한수이면 true를 반환하고 무한대 이거나 Infinity, NaN, undefined일 경우 false를 반환한다.

/**
 * 전달받은 인수가 유한수인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boolean으로 반환
 * @param {number} testValue - 검사 대상 값
 * @return {boolean} 검사결과
 */
isFinite(testValue);

isFinite(0); // true
isFinite(2e64); // true(십육진법에서 십진법으로 변환 시 11876)
isFinite('10'); // true
isFinite(null); // true(null은 숫자타입으로 변환 시 0)
isFinite(Nan); // false
isFinite(Infinity); // false
isFinite('Hello'); // false

 

3) isNaN(number)

전달받은 인수가 NaN인지 검사하여 그 결과를 불리언으로 반환한다. 인수의 타입이 숫자가 아닌 경우, 숫자로 타입을 변환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
 * 주어진 숫자가 NaN인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boolean으로 반환
 * @param {number} testValue - 검사 대상 값
 * @return {boolean}
 */
isNaN(testValue)

isNaN(NaN); // true
isNaN(10); // false
isNaN('banana'); // true
isNaN('10.2'); // false
isNaN(''); // false(''는 0)
isNaN(' '); // false(' '는 0)
isNaN(true); // false(true는 1)
isNaN(null); // false(null은 0)
isNaN({}); // true({}는 NaN)
isNaN(new Date()); // false(new Date()는 number)
isNaN(new.Date().toString()); // true(String은 NaN)

 

4) parseFloat(string)

전달받은 문자열 인수를 부동 소수점 숫자, 즉 실수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
 * 전달받은 문자열 인수를 실수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 @param {string} string - 변환 대상 값
 * @return {number}
 */
parseFloat(string)

parseFloat('3.14'); // 3.14
parseFloat('10.00'); // 10

// 공백으로 구분된 문자열은 첫번째 문자열만 변환
parseFloat('34 45 66'); // 34
parseFloat('40 years'); // 40

// 첫번째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수 없다면 NaN을 반환
parseFloat('He was 40'); // NaN

// 앞뒤 공백은 무시
parseFloat(' 60 '); // 60

 

5) parseInt(string)

전달받은 문자열 인수를 정수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
 * 전달받은 문자열 인수를 정수로 해석하여 반환
 * @param {string} string - 변환 대상 값
 * @param {number} [radix] - 진법을 나타내는 기수(2~36, 기본값이 10)
 * @returns {number} 변환결과 값
 */
parseInt(string, radix)

parseInt('10'); // 10
parseInt('10.123'); // 10
parseInt(10.234); // 10
// '10'을 2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
parseInt('10',2); // 2
// '10'을 8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로 반환
parseInt('10',8); // 8
// '10'을 16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로 반환
parseInt('10',16); // 16
// 반환값은 언제나 10진수

두번째 진법을 나타내는 인수가 '0x' 또는 '0X'로 시작하는 16진수 리터럴이라면 기수를 지정하지 않아도 16진수로 해석하여 10진수 정수로 반환하지만 2진수 리터럴과 8진수 리터럴은 제대로 해석하지 못한다.

 

ES5 이전까지는 (비록 사용을 금지하고 있었지만) '0'으로 시작하는 숫자를 8진수로 해석했지만 ES6부터는 '0'으로 시작하는 숫자를 10진수로 해석하기 때문에 8진수로 해석하길 원한다면 지수를 반드시 정해야 한다.

// 2진수 리터럴 '0b'은 제대로 해석하지 못함. 0 이후 무시됨.
parseInt('0b10'); // 0
// 8진수 리터럴(ES6에서 도입. 0o로 시작)은 제대로 해석하지 못함. 0 이후 무시됨
parseInt('0o10'); // 0

참고로, 기수를 지정하여 10진수 숫자를 해당 기수의 문자열로 변환하여 반환하고 싶을 때는 Number.prototype.toString 메서드를 사용한다.

const x = 15;

// 10진수 15를 2진수로 변환하여 문자열로 반환
x.toSting(2) ; // '1111'
// 문자열 '1111'을 2진수로 해석하고 10진수 정수로 반환
parseInt(x.toString(2), 2); // 15

//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x.toString(); // '15'
// 문자열 '15'를 10진수로 해석하고 정수로 반환
parseInt(x.toString()); // 15

첫번째 인수로 전달한 문자열의 첫번째 문자해당 지수의 숫자로 변환될 수 없다면 NaN을 반환한다.

 

첫번째 인수로 전달한 문자열의 두번째 문자부터 해당 진수를 나타내는 숫자가 아닌 문자와 마주치면 이 문자와 그 뒤의 문자들은 전부 무시되며 해석된 정수값만 반환한다.

 

전달한 문자열에 공백이 있다면 parseFloat와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6) encodeURI / decodeURI

💡 URI -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URI의 하위 개념으로 URL, URN이 있음)

💡 인코딩 -  URI의 문자들을 이스케이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스케이프 처리 -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때 어떤 시스템에서도 읽을 수 있는 아스키 문자셋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단, 알파벳, 0~9, ; , / ? : @ & = + $ - _ . ! ~ * ' ( ) # 는 이스케이프 처리에서 제외된다.

 

encodeURI()는 완전한 URI를 문자열로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를 위해 인코딩한다.

/**
 * 완전한 URI를 문자열로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를 위해 인코딩한다.
 * @param {string} uri - 완전한 URI
 * @returns {string} 인코딩된 URI
 */
encodeURI(uri)

// 완전한 URI
const uri = 'http://example.com?name=김철수&job=programmer&student';
const enc = encodeURI(uri);
console.log(enc);
// http://example.com?name=%EC%9D...생략...&job=programmer&student

 

decodeURI()는 인코딩된 URI를 인수로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 이전으로 디코딩한다.

/**
 * 인코딩된 URI를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 이전으로 디코딩한다
 * @param {string] encodeURI - 인코딩된 URI
 * @returns {string} 디코딩된 URI
 */
decodeURI(encodeURI)

// http://example.com?name=%EC%9D...생략...&job=programmer&student
const enc = encodeURI(uri);
const dec = decodeURI(enc);
console.log(dec);
// http://example.com?name=김철수&job=programmer&student'

 

7) encodeURIComponent / decodeURIComponent

encodeURIComponent()는 URI 구성요소를 인수로 전달받아 인코딩한다. decodeURIComponent()는 매개변수로 전달된 URI 구성요소를 디코딩한다.

/** 
 * URI 구성요소를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를 위해 인코딩한다.
 * @param {string} uriComponent - URI 구성요소
 * @returns {string} 인코딩된 URI 구성요소
 */
encodeURIComponent(uriComponent)

/** 
 * 인코딩된 URI 구성요소를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 이전으로 디코딩한다.
 * @param {string} uncodedURIComponent - 인코딩된 URI 구성요소
 * @returns {string} 디코딩된 URI 구성요소
 */
decodeURIComponent(uncodedURIComponent)

encodeURIComponent()는 인수로 전달된 문자열을 URI의 구성요소인 쿼리 스트링의 일부로 간주한다. 

decodeURIComponent()는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열을 완전한 URI 전체라고 간주한다.

따라서, 쿼리 스트링 구분자로 사용되는 =, ?, &는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지 않는다.

 

 

 

 

 

암묵적 전역(implicit global)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에 값을 할당하면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되어 전역 변수처럼 사용되는 현상"암묵적 전역"이라고 한다.

var x = 10; // 전역 변수

function test() {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에 값 할당
  y = 20;
}
test();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 y를 전역으로 참조할 수 있다.
console.log(x+y); // 30

① test()가 호출되면서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y변수에 값을 할당하기 위해 먼저 스코프 체인을 통해 선언된 변수인지 확인한다.

② y변수의 선언을 찾을 수 없으므로 참조 에러가 발생한다.

③자바스크립트 엔진이 y = 20을 window.y = 20으로 해석하여 전역 객체에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④ y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되어 마치 전역 변수처럼 동작한다.

 

단, y는 변수 선언 없이 단지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에 추가되었을 뿐 변수는 아니므로 변수 호이스팅은 발생하지 않는다.

// 전역 변수 x는 호이스팅이 발생한다.
console.log(x); // undefined
// 암묵적 전역 현상으로 인해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 추가된 y는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
console.log(y); // ReferenceError: y is not defined

var x = 10; // 전역 변수

function test() {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에 값을 할당
  y = 20; // window.y = 20
}

test();

// y는 전역에서 참조할 수 있다.
console.log(x+y); // 30

y는 변수가 아닌 프로퍼티이므로 delete 연산자로 삭제할 수 있다. (전역 변수는 프로퍼티이지만 delete 연산자로 삭제할 수 없음)

var x = 10; // 전역 변수

function test() {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에 값을 할당
  y = 20; // window.y = 20
  console.log(x+y);
}

test(); // 30

console.log(window.x); // 10
console.log(window.y); // 20

delete x; // 전역 변수는 삭제되지 않음
delete y; // 암묵적 전역 현상으로 생성된 프로퍼티는 삭제됨

console.log(window.x); // 10
console.log(window.y); // undefined